들국화 (밴드)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들국화는 1983년 결성된 대한민국의 록 밴드이다. 보컬 전인권, 피아노 허성욱, 베이스 최성원으로 시작하여 1985년 데뷔 앨범 '행진'을 발매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. 1987년 해체 후 1995년 재결성, 1997년 허성욱의 사망, 2000년 재해체를 거쳐 2012년 다시 활동을 시작했으나, 2013년 드러머 주찬권의 사망으로 새 앨범 발매가 중단되었다. 이후 멤버들의 사망과 재결합 및 해체를 반복하며 2021년 한국 대중음악상 공로상을 수상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들국화 - A Tribute To 들국화
《A Tribute To 들국화》는 윤도현 밴드, 권인하, 박효신 등 여러 후배 가수들이 참여하여 들국화의 명곡들을 재해석한 헌정 앨범이다. - 들국화 - 전인권
전인권은 1979년 데뷔 후 밴드 들국화의 보컬리스트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으나, 마약 투약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솔로 활동 재개 후 〈걱정말아요 그대〉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〈Imagine〉을 불러 화제가 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. - 1989년 해체된 음악 그룹 - 잭슨 5
잭슨 5는 잭슨 가문의 다섯 형제로 구성되어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"잭슨매니아"라 불릴 정도의 전 세계적 열풍을 일으킨 미국의 R&B 그룹이다. - 1989년 해체된 음악 그룹 - 소녀대
소녀대는 1983년 결성되어 1989년 해체된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으로, 아시아 시장 공략과 서울 올림픽 이미지송 발표 등을 통해 활동했으며, 해체 후 재결성되기도 했다. - 2013년 해체된 음악 그룹 -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
1988년 결성된 미국의 힙합 그룹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는 Q-Tip, Phife Dawg, Ali Shaheed Muhammad, Jarobi White로 구성되어 재즈 기반의 독창적인 음악과 사회적 메시지로 1990년대 힙합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, 롤링 스톤 500대 명반에 선정되고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등 음악적 업적을 남겼다. - 2013년 해체된 음악 그룹 - 마이 케미컬 로맨스
2001년 9·11 테러 이후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 마이 케미컬 로맨스는 얼터너티브 록, 이모, 팝 펑크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과 극적인 무대 연출, 그리고 LGBT 커뮤니티에서의 인기와 더불어 2006년 컨셉 앨범 《The Black Parade》의 성공으로 전성기를 맞이했으며, 해체 후 재결합하여 현재까지도 활동 중이다.
들국화 (밴드) - [인물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![]() | |
로마자 표기 | Deulgukhwa |
종류 | 록, 포크 록, 소프트 록 |
활동 기간 | 1982년 ~ 1989년 1995년 ~ 1999년 2012년 ~ 2013년 |
레이블 | 서울레코드 |
구성원 | |
현재 구성원 | 해당 없음 |
이전 구성원 | 전인권 최성원 허성욱 조덕환 주찬권 최구희 손진태 민재현 이건태 |
관련 웹사이트 | |
웹사이트 | 해당 없음 |
2. 결성 및 활동
1982년 8월 보컬 전인권, 피아노 허성욱, 베이스 최성원이 모여 밴드를 결성했다.[6] 밴드 이름 '들국화'는 멤버 허성욱이 씹던 껌 이름에서 유래했다.[7] 이후 기타리스트 조덕환이 합류하여 1985년 9월 첫 정규 앨범 ''행진''을 발표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.[6][8][9]
1집 활동 이후 조덕환이 밴드를 떠났고, 기타리스트 최구희와 손진태, 드러머 주찬권이 새롭게 합류했다.[23][6] 6인조로 재편된 들국화는 1986년 두 번째 정규 앨범 ''너와 나''를 발표했으나,[6][8][10] 내부 문제 등으로 인해 1987년 해체를 선언했다.[23]
이후 들국화는 여러 차례 해체와 재결성을 반복했다. 1995년 전인권 중심으로 새로운 멤버들과 재결성했으나,[23] 1997년 원년 멤버 허성욱이 캐나다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.[24][11] 허성욱의 사망을 계기로 잠시 활동을 재개하기도 했지만,[11][12] 2000년 다시 해체되었다.
2012년 원년 멤버들이 다시 모여 공식적인 컴백을 선언하고 활동을 재개했으나,[13][9] 2013년 10월 20일 드러머 주찬권이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[14] 활동에 큰 차질을 빚었다. 밴드는 같은 해 12월 6일 주찬권의 유작 앨범이 된 정규 앨범 ''들국화''를 발매한 후,[14] 사실상 다시 해체 상태에 들어갔다.[4] 2014년 전인권은 기자회견을 통해 향후 들국화 재결성 계획이 없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.[26][16][17]
2016년 11월 14일에는 1집 활동에 참여했던 기타리스트 조덕환이 암으로 세상을 떠났고,[18] 2021년 들국화는 한국 대중음악상에서 공로상을 수상하며 한국 대중음악사에 남긴 업적을 인정받았다.[19]
2. 1. 결성 초기 (1983년 ~ 1985년)
1982년 8월 전인권(보컬), 허성욱(피아노), 최성원(베이스)이 모여 밴드를 결성했다.[6] 그해 11월 세종문화회관 옆 피카디리극장에서 첫 공연을 가졌다.[6] 밴드 이름 '들국화'는 멤버 허성욱이 밴드 이름을 고민하던 중 우연히 씹고 있던 껌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.[7] 이후 기타리스트 조덕환이 합류하였다.1985년 9월, 밴드는 데뷔 앨범 ''행진''을 발매했다.[6][8] 이 앨범은 당시 라디오 방송 심의 등의 문제로 방송 활동을 거의 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, 주로 라이브 공연을 통해 얻은 입소문만으로 80만 장이라는 기록적인 판매고를 올렸다.[9] 들국화는 여러 소규모 극장에서 공연을 이어갔으며, 대부분 매진을 기록하며 젊은 층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.[9]
2. 2. 전성기 (1985년 ~ 1987년)
1985년 기타리스트 최구희와 손진태, 드러머 주찬권이 새롭게 합류했다.[23] 같은 해 9월, 밴드는 데뷔 앨범 ''행진''을 발매했다.[6][8] 이 앨범은 당시 라디오 방송 심의 문제 등으로 방송 활동을 거의 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, 80만 장이라는 기록적인 판매고를 올렸으며, 여러 소규모 극장에서 열린 공연은 연일 매진을 기록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.[9] 이 시기 들국화는 젊은 세대의 열광적인 지지를 받으며 한국 대중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받는다.1집 활동 이후 초기 멤버였던 기타리스트 조덕환이 개인적인 이유로 밴드를 떠났다.[6] 이후 전인권(보컬), 허성욱(키보드), 최성원(베이스), 최구희(기타), 손진태(기타), 주찬권(드럼)의 6인조로 재편된 들국화는 1986년 두 번째 정규 앨범 ''너와 나''를 발표했다.[6][8][10]
그러나 밴드는 내부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1987년 해체를 선언하며 짧은 전성기를 마감했다.[23]
2. 3. 해체와 재결성 (1987년 ~ 2013년)
1985년 2집 《너와 나》 발매 이후, 밴드는 결성 5년 만인 1987년 해체를 선언했다.[23] 이후 1995년 전인권이 새로운 멤버들과 함께 밴드를 재결성했다.1997년 밴드의 창립 멤버이자 건반악기를 담당했던 허성욱이 캐나다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.[24][11] 이를 계기로 들국화는 다시 활동을 재개하여 1999년 5월 30일까지 이어지는 투어를 진행하기도 했다.[11][12] 그러나 개인 사정 등으로 인해 2000년에 다시 해체되었다.
시간이 흘러 2012년, 들국화는 공식적인 컴백을 발표하고 다시 뭉쳤다.[13] 2012년과 2013년 동안 여러 소규모 콘서트를 열며 팬들과 다시 만났다.[13][9] 하지만 2013년 10월 20일, 드러머 주찬권이 암으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면서 새 앨범 준비가 중단되는 아픔을 겪었다.[14] 밴드는 2013년 12월 6일에 주찬권의 유작 앨범이 된 《들국화》를 발매했다.[14]
주찬권의 사망 이후 밴드는 다시 해체설에 휩싸였다.[4] 전인권은 전인권밴드로 활동할 예정이며, 최성원과는 "절실하면 다시 만날 것"이라고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.[25] 그러나 2014년 8월 20일, 전인권은 전인권밴드 컴백 기자회견에서 향후 들국화 재결성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최종적으로 밝혔다.[26][16][17] 이로써 밴드의 활동은 다시 불투명한 상태가 되었다.
2. 4. 해체 이후 (2013년 ~ 현재)
2013년 10월 20일, 드러머 주찬권이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새 앨범 준비가 중단되었다.[14] 그해 12월 6일, 주찬권의 유작 앨범이 된 《들국화》가 발매되었다.[14] 주찬권의 사망 이후 밴드는 사실상 다시 해체 상태에 들어갔다.[4]해체설에 대해 멤버 전인권은 전인권밴드로 활동할 예정이며, 최성원과는 필요하다면 다시 만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.[25][15] 그러나 2014년 8월 20일, 전인권은 전인권밴드 컴백 기자회견에서 들국화의 향후 재결성 계획은 없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.[26][16][17]
2016년 11월 14일에는 1집 활동에 참여했던 기타리스트 조덕환이 암으로 사망했다.[18]
2021년, 들국화는 "한국 대중음악사에 기여한 공로와 영향"을 인정받아 한국 대중음악상에서 공로상을 수상했다.[19]
3. 구성원
자세한 내용은 #이전 구성원 문단을 참고하라.
3. 1. 이전 구성원
- 전인권 – 보컬, 기타 (1985-1989, 1995, 1998-1999, 2012-2013)
- 최성원 – 베이스, 기타, 보컬 (1985-1989, 1998-1999, 2012-2013)
- 조덕환 – 기타, 보컬 (1985, 2016년 사망)
- 허성욱 – 키보드 (1985-1989, 1997년 사망)
- 주찬권 – 드럼, 보컬 (1986-1989, 1998-1999, 2012-2013, 사망)
- 최구희 – 기타 (1986)
- 손진태 – 기타 (1986, 1998-1999)
- 민재현 – 보컬, 기타 (1995)
- 이건태 – 드럼 (1995)
- 정해우 - 불법 도박과 마약 문제로 1개월 만에 탈퇴.
4. 음반 목록
들국화는 여러 장의 정규 앨범과 라이브, 컴필레이션, 트리뷰트 앨범을 발표했다.
- 행진 (1985년)
- 너랑 나랑 (1986년)
- 우리 (1995년)
- 들국화 (2013년 12월 6일)
- Live Concert (1986년 4월 25일)
- 1979-1987 추억 들국화 (1987년)
- 들국화 베스트 12 (1989년)
- 들국화 Best (1995년 9월)
- A Tribute To 들국화 (2001년)
- 2011 들국화 리메이크 (2011년)
4. 1. 정규 앨범
4. 2. 라이브 앨범
- 《Live Concert》 (1986년 4월 25일)
4. 3. 컴필레이션 앨범
- 《1979-1987 추억 들국화》 (1987년)
- 《들국화 베스트 12》 (1989년)
- 《들국화 Best》 (1995년 9월)
4. 4. 트리뷰트 앨범
- 《A Tribute To 들국화》 (2001년)
- 《2011 들국화 리메이크》 (2011년)
참조
[1]
웹사이트
들국화,해체 5년만에 `따로 또 같이'콘서트
https://n.news.naver[...]
1993-03-19
[2]
웹사이트
Lee Sun Gyun participates in an interview for Deulgukhwa's comeback
https://ca.finance.y[...]
2013-12-04
[3]
웹사이트
This Guy Singing "Imagine" In Sunglasses At The Opening Ceremony Really Made His Mark
https://www.bustle.c[...]
2018-02-09
[4]
웹사이트
Deulgukhwa to split after drummer’s death
https://www.koreaher[...]
2013-12-26
[5]
웹사이트
"[커버스토리]대중음악 100대 명반 ‘들국화’1위"
https://www.khan.co.[...]
2007-08-23
[6]
웹사이트
들국화의 탄생과 데뷔앨범
https://www.khan.co.[...]
2007-08-23
[7]
웹사이트
록밴드 들국화, 봄 향기와 함께 '새록새록'
https://www.busan.co[...]
2011-02-24
[8]
웹사이트
"[대중음악가 열전] 35. 한국 록의 대부 전인권"
https://www.busan.co[...]
2016-12-01
[9]
웹사이트
Legendary rock band breaks its long silence
https://koreajoongan[...]
2013-04-10
[10]
웹사이트
"<가요> 들국화, 10년 만에 재결성 무대 꾸민다"
https://entertain.na[...]
1998-05-12
[11]
웹사이트
록그룹 들국화, 전국 투어에 나선다
https://entertain.na[...]
1998-06-12
[12]
웹사이트
"<가요> 록그룹 들국화, 전국 투어에 나선다"
https://entertain.na[...]
1998-06-12
[13]
웹사이트
Reunited and it feels so good
https://www.hani.co.[...]
2012-07-06
[14]
웹사이트
Deulgukhwa coming back with a new album in December
https://www.yahoo.co[...]
2013-11-24
[15]
뉴스
전설의 록그룹 들국화, 재결성 1년 만에 다시 해체
http://news.sportsse[...]
스포츠서울
2013-12-26
[16]
뉴스
전인권 “들국화 재결합 없다…최성원과 그만 싸우고 싶다”
http://www.tvreport.[...]
TV리포트
2014-08-20
[17]
웹사이트
1st-generation rock band disbanded
https://www.koreatim[...]
2014-01-12
[18]
웹사이트
Guitar legend Jo Deok-hwan dead at 64
https://koreajoongan[...]
2016-11-14
[19]
웹사이트
들국화, 제18회 한국대중음악상 공로상 수상 "韓 밴드음악의 뿌리 같은 밴드"
https://www.xportsne[...]
2021-01-26
[20]
웹사이트
Deulgukhwa Chart History - Albums
https://circlechart.[...]
[21]
웹사이트
1986년 1회 수상자 리스트
https://www.goldendi[...]
[22]
웹사이트
"'레전드' 들국화 '골든디스크' 집행위원 특별상"
https://news.jtbc.jo[...]
2014-01-16
[23]
뉴스
들국화, 10년 만에 재결성 무대 꾸민다
https://news.naver.c[...]
연합뉴스
1998-05-12
[24]
뉴스
록그룹 들국화, 전국 투어에 나선다
https://news.naver.c[...]
연합뉴스
1998-06-12
[25]
뉴스
전설의 록그룹 들국화, 재결성 1년 만에 다시 해체
http://news.sportsse[...]
스포츠서울
2013-12-26
[26]
뉴스
전인권 “들국화 재결합 없다…최성원과 그만 싸우고 싶다”
http://www.tvreport.[...]
TV리포트
2014-08-20
관련 사건 타임라인
(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. )
한국 대중음악의 가장 위대한 경지, 들국화 40주년…“1년 뒤 봅시다”
[뮤직Y] 전인권 "나는 안 죽을 것 같아"… 40년 음악 여정의 '마지막 울림'
최휘영 문체부 장관 후보자, 재산 247억 신고…31살 장남 재산 17억
[책과 삶] 들국화, 장필순, 이소라…마음 울린 그들의 노래가 탄생한 곳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